0. 도급액
도급액이란 최저가 또는 적격 등으로 입찰 과정을 거쳐 최종 낙찰된 가격을 말한다.
발주처에서 입찰공고 시 발표한 예정 가격보다 보통 적은 금액으로 정해지게 되며, 이 금액이 도급액으로 발주처와 계약상으로 승인된 공사비가 되어 건설사가 공사를 하며 지급받게 되는 금액이다.
1. 실행예산
실행이란 간단하게 실제로 건설사가 공사를 하면서 투입되는 금액을 말한다.
따라서 실행 예산이란 해당 공사의 착공에서부터 완공까지 필요한 실제 소요 공사비 예산으로 건설공사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자, 각종 지표의 기준이 되는 예정 투입금액을 말한다.
실행금액은 도급액보다 적어야 건설사는 그만큼 이윤을 남길 수 있다. 보통 1군 종합건설사(대기업, 원청)은 공사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협력업체와 계약을 맺어 실제 공사는 협력업체가 수행하는 하도급을 주게 된다. 이때, 협력업체와 계약하는 금액을 실행이라고 하며 실제로 협력업체에게 지급해야 하는 금액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내역서에 포함된 모든 부분을 협력업체에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재는 원청사가 더 싼 거래처를 통해 제공해 주거나 복합적으로 검토가 되어 나오는 금액도 있을 수 있다.
도급액 대비 실행률이 100% 이상이 되어버리면 시공사에서 추가 비용을 들여가며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건설사들이 컨소시엄을 맺어 참여하는 대형 규모의 공사의 경우, 보통 지분율에 따라 금액을 분담하며 공동도급사끼리 공사 전 협정서와 같은 세부 규정을 정할 수 있다.
실무에서 입찰공고에 뛰어들 때, 발주처에서 게시한 설계내역서를 보고 먼저 실행을 뽑게 되며, 대형 건설사의 경우 실행이 높으면 잘 들어오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중견 건설사들은 실적에 대한 부분이나 준공 현장이 도래되는 경우 돌아오는 직원들을 보낼 현장도 필요하기에 실행이 아주 오버되지 않으면 감수하고 입찰에 참여하는 실정도 있다고 한다.
또한, 실행이 도급액 대비 100%가 넘더라도 이를 설계변경 및 물가 상승분 등을 통해 조치 계획을 가지고 있을 수 도 있다.
2. 실행예산 구분
공사 수주를 받기 이전에 짐작되는 금액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을 입찰 실행이라고 하며, 공사 수주 후 공사 예상급에 대한 손익을 파악하기 위해 준공 손익과 대조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을 본 실행이라고 한다.
1️⃣본 실행예산 :
본 실행예산은 공사의 착공부터 완공까지 필요한 모든 소요 공사비의 예산을 의미한다. 실제 예산을 집행하는 기준이 되며 원가의 기준이 된다. 공사의 손익을 사전에 예비하여 기업의 이익 계획과 공사 수준의 질을 판단해 주는 예산이다.
2️⃣ 가 실행예산:
가 실행예산은 본 실행예산을 편성하기에 시간이 부족하거나 불가피하게 계약이 이루어지기 전 공사를 시작해야 할 경우,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집행 기준 예산을 의미한다. 가 실행예산 기간이 길어지면 본 실행예산의 의미가 없어지기에 가 실행예산의 기간이 길지 않는 것이 좋다.
3️⃣ 변경 실행예산
시공 도중에 설계 변경이나 부득이한 이유로 본 실행예산에 의한 시공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 본 실행예산을 변경 및 수정한 예산을 의미한다.
3. 실행예산 편성
건설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준공종 계정과목은 다음과 같다.
- 외주비 : 외주업체 계약을 통한 공사 수행 (건축, 토목, 전기, 기계, 소방, 조경 등)
- 재료비 : 철근/레미콘으로 목적물 완성을 위해 투입되는 자재
- 노무비 : 건설 현장에 투입된 임직원에 대한 인건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등
- 장비비 : 임차한 장비 및 기계의 사용료 및 유지관리비
- 관리비(경비) : 현장 내의 관리비 (교통, 수도, 보험, 통신 등 관리비)
세부적으로 직접비, 간접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직접비와 간접비는 주로 순 공사원가에 해당하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관리비와 이윤은 별도로 계상될 수 있다.
4. 직접비와 간접비
직접비와 간접비는 투입된 원가를 역으로 추적해 나갈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원가를 분류하는 방식이다.
직접비
특정 제품이나 원가 대상에 직접적으로 추적하고 부과할 수 있는 비용으로 대표적으로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직접 경비가 있다.
간접비
여러 제품이나 프로젝트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특정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없어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총액을 특정 배부 기준을 가지고 제품에 분배해야 하며, 대표적으로 간접 재료비, 간접 노무비, 간접경비가 있다. ex) 보험료, 관리비, 수수료, 경비, 이윤 등등
공사 관련 포스트
- [Construction, 공사] 실행예산이란? (도급, 실행, 표준공종, 예산편성)
- [Construction, 공사] 도급, 기성, 공사원가와 손익
'Construction &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ruction, 공사] 하도급대금 직접 지급(발주처 직불, 하도급지킴이) (0) | 2025.04.18 |
---|---|
[Business, 회계] 선수금과 선급금이란? 회계 처리와 분개 방식 (0) | 2025.04.14 |
[Business, 회계] 차변과 대변 (복식부기, 거래의 8요소) (0) | 2025.03.06 |
[Construction, 공사] 도급, 기성, 공사원가와 손익 (0) | 2025.02.19 |
[Business, IT] Value Chain, 가치 사슬이란? (1)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