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선수금과 선급금의 정의 및 차이
선수금
기업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에 미리 지급한 금액으로, 기업 입장에서 부채로 기록된다.
이는 기업이 아직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의무를 나타낸다.
선급금
거래처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받기 전에 미리 지급한 금액으로, 기업 입장에서 자산으로 기록된다.
이는 기업이 앞으로 받을 권리를 가지는 금액을 의미한다.
선수금 | 선급금 | |
의미 | 상품·용역을 제공하기 전에 대금을 미리 받은 돈 | 상품·용역을 받기 전에 대금을 미리 지급한 돈 |
회계 처리 | 부채 (채무, 제공할 의무) | 자산 (채권, 받을 권리) |
예시 | 학원의 연간 수강료를 선납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주문했지만 아직 배송되지 않은 경우 | 건물 신축 계약금이나 원재료 매입을 위한 선지급 금액 |
2. 회계 처리 & 분개 방식
선수금 분개 (부채)
1. 상품대금 선수금 수령 시
차변 | 대변 |
현금 1,000 | 선수금 1,000 |
2. 상품 인도 시 (매출 인식)
차변 | 대변 |
선수금 1,000, 보통예금 9,000 | 상품매출 10,000 |
선급금 분개 (자산)
1. 상품대금 선급금 지급 시
차변 | 대변 |
선급금 110,000 | 보통예금 110,000 |
2. 상품 인도 시 (매입 인식)
차변 | 대변 |
재고 자산 200,000 | 선급금 110,000 |
3. 장기공사 계약 회계처리 (기성고 방식)
기성고(진행률 기준): 공사가 1년 이상 걸리는 경우, 공사가 진행된 비율(%)만큼 매출을 분할 인식하는 방법
진행률(%) = (발생원가 / 총 예상원가) × 100
상황
- 공사 계약금액: 10억
- 총 예상 원가: 5억
- 기말까지 실제 발생 원가: 2억
- 발주처로부터 선수금: 3억 선지급 받음
1️⃣ 선수금 수령 시
차변 | 대변 |
현금 300,000,000 | 선수금 300,000,000 |
2️⃣ 공사비용 발생 시
차변 | 대변 |
공사원가 200,000,000 | 현금(또는 외상매입금) 200,000,000 |
3️⃣ 진행률에 따른 수익 인식
진행률 40%라면: 총 계약금액 × 진행률 = 인식할 매출액 = 10억 × 0.4 = 4억
차변 | 대변 |
선수금 300,000,000 미수금 100,000,000 |
공사수익 400,000,000 |
👉 이미 받은 3억을 선수금에서 빼고, 나머지 1억은 발주처 청구(미수금)
4️⃣ 결산 시 손익 반영
차변 | 대변 |
공사수익 400,000,000 | 공사원가 200,000,000 공사이익 200,000,000 |
👉 기성고 수익과 비용을 맞춰 이익 인식
회계 관련 포스트
- [Business, 회계] 차변과 대변 (복식부기, 거래의 8요소)
- [Business, 회계] 선수금과 선급금이란? 회계 처리와 분개 방식
'Construction &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ruction, 공사] 하도급대금 직접 지급(발주처 직불, 하도급지킴이) (0) | 2025.04.18 |
---|---|
[Business, 회계] 차변과 대변 (복식부기, 거래의 8요소) (0) | 2025.03.06 |
[Construction, 공사] 도급, 기성, 공사원가와 손익 (0) | 2025.02.19 |
[Business, IT] Value Chain, 가치 사슬이란? (1) | 2025.02.16 |
[Construction, 공사] 실행예산이란? (도급, 실행, 표준공종, 예산편성) (0) | 2025.02.15 |